분류 전체보기

    <어벤져스: 엔드게임>: 21세기 여성혐오의 교과서

    <어벤져스: 엔드게임>: 21세기 여성혐오의 교과서

    들어가기 전 잡담: 나는 시리즈의 팬은 아니다. 를 극장에서 5번 보고, 미국 버전에만 포함된 슈와마 쿠키 장면을 보려고 미군 부대에 초대를 받아 들어갔었지만 이 시리즈를 싫어한다. 과거에 조스 위든의 팬이었고 그가 만든 드라마 를 여러 번 재주행했다. 그러나 의 첫 장면이 시작하는 순간, 그러니까 블랙 위도우가 자장가로 헐크를 재우는 순간 이 시리즈가 싫어졌다. 농장만 생각하면 손발이 덜덜 떨리고 눈물이 난다. 에도 그 배경으로 농장이 나오는데 뛰쳐나갈 뻔 했다. 블랙 위도우의 과거 설정이 그럴 줄 누가 알았으며, 호크아이가 유부남일 줄 누가 알았겠어? 그따구 반전을 굿아이디어라고 추진한 놈들 아직도 패버리고 싶음. 그 뒤 조스 위든이 저질렀던 불륜이며 어록들이 줄줄이 풀렸고... 을 보고 토니에 이입..

    2017년 베스트 경험/독서/영화 5

    2017년 베스트 경험/독서/영화 5

    경험: 생각해보면 외부적으로도 뭘 열심히 하긴 했는데 인상깊게 남은건 정말 개인적인 차원의 덕질/결심/행동 등등인듯. 1. 플레이 2017 개인적으로 무척이나 힘든 한해였지만(대체 언제쯤 이 말을 안 쓸 수 있을까) 드에를 만났으니 다시 태어나도 몇 번이라도 다시 살 수 있다. 여성으로 인간으로 주체적으로 살기 어려울 때 떠올릴 수 있는 서사를 찾았다는거 정말 좋고 n년만에 입덕작 찾아서 더 좋음. 바쁜 한 해 보내다 잠깐 짬 났을때 정말 무뜬금으로 잘생긴 최애 좋아하신다는 분들이 왜 못생긴 대머리 엘프에 열광하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궁금했던 과거의 나 잘했다 매우 이유가 있었다. 2. 의 앤더스를 좋아하게 된 거 여러가지 비중 있는 외부적 판단이 있었던 해였고 이 판단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앞으로..

    평평한 원의 시간,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평평한 원의 시간,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내 방 책상 위 십자가가 걸려있던 자리에 이제 의 포스터가 있다. 포스터는 "Touch Darkness and Darkness touches you back" 니체가 괴물을 만지면 괴물이 니체를 만진다는 유명한 문장을 인용한다. 드라마는 이 외에도 니체를 여러번 언급하는데, 대표적인 대사인 "시간은 평평한 원이야 Time is a flat circle" 이라는 대사도 니체의 에서 설명되는 말이라고 한다. 친구가 발견한 레딧 글을 옮겨보면 대략 이렇다. "네가 외롭고도 외로운 날 낮이고 밤이고 언제가 되었던 가장 외로운 시간에 악마가 네게 와서 속삭인다고 생각해 봐. '지금까지 네가 살았고 지금 살고 있는 이 삶과 같은 삶을 너는 다음에도 또 한번, 그리고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되풀이해서 살아야 해' ...

    <호라이즌 제로 던>과 19세기 여성 작가들

    <호라이즌 제로 던>과 19세기 여성 작가들

    *170926 13시 일부 내용 수정 보완 원래 이 글의 제목은 "은 페미니스트 게임이고 페미니즘은 재밌습니다."였다. 메인 글자수 관계로+좀 더 내용과 연관된 제목을 써야할 것 같아서 바꿈. 이 페미니스트 게임이라고? or 페미니스트 게임인 건 알겠는데 19세기 여성 작가들이 무슨 관련이지? = 계속 읽으시면 됩니다 몇주 전 을 눈물콧물 흘리면서 플레이했다. 너무너무 재밌는 액션 게임일 뿐 아니라 단연코 최고의 페미니스트 게임이기까지 하니 더할 나위 없다. 이 게임이 페미니즘 사상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만들어진건 게임을 해보면 충분히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에일로이-가이아-엘리자베트 소벡의 관계가 노라의 가모장제도를 통해 이어지는 것도 그렇고, 메인 스트림과 사이드 퀘스트의 주요 역할은 비백..

    장국영의 유서

    장국영의 유서

    "감정이 피곤해 세상을 사랑할 마음이 없다 感情所困 無心戀愛世." 나도 이 문장의 출처를 찾다가 장국영의 유서라는 내용을 접했다. 하지만 이상한 점, 분명 한문으로 검색했는데도 결과에 한국어 웹만 뜬다. 그래서 다시 검색해 발견한 내용은 이것."한 명의 20대 청년을 알았다. 그와 탕탕사이에서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 몰라서 괴롭다. 그래서 자살하려 한다 認識一位二十多歲青年,在他與 ‘唐唐’ 間不知道如何選擇才好,十分困擾,所以要自殺" 이건 검색 결과가 한문 웹에 많이 뜨긴 하는데 유서라는 내용은 (적어도 내가 보기엔)없는 듯. 그리고 한국어 웹에는 기독교 사이트에 이래서 동성애 허용하면 안된다 -_-;; 는 기사에서 인용하고 있다. 결국 처음으로 돌아가서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택했다. 그냥 장국영 유서를 영어..

    <부르카 복서>: #우리에겐_페미니스트_선생님이_필요합니다

    <부르카 복서>: #우리에겐_페미니스트_선생님이_필요합니다

    중학교, 남자애들이 여자 탈의실에 카메리를 설치해 놨다는 소문이 돌았다. 체육 선생님은 지각생들을 엎드려 뻗쳐 시키고 때리면서 치마를 걷어붙인 허벅지 쪽으로 웃곤 했다. 고등학교, 국어 선생님은 시집도 못갈 년들이라는 말을 일상적인 욕으로 썼다. 윤리 선생님은 매 시간마다 음담패설을 했는데, 신혼 첫날밤 터진 처녀막이 꼭 떡볶이 같았다는 말에 학부모들이 항의했지만 징계를 당하는 일은 없었다. 대학교, 개인 문집을 만들어 1:1면담을 해야 했던 글쓰기 수업에서 여자애들은 "문학 소녀"라 처음엔 글을 잘 쓰는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자기만의 세계에 갇여서 사회적인 시각을 갖추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다. 모욕감에 기가 죽었다. 그리고 처음 들어간 사회학 입문 수업에서 페미니즘을 배웠다. 남자 혐오자라는 소문이 돌았..

    데이비드 보위: Missing his <Space Oddity>

    데이비드 보위: Missing his <Space Oddity>

    우선 RIP. EIDF에서 데이비드 보위에 대한 다큐멘터리, 을 상영해줘서 보게 되었다. 나는 그의 곡 중에 를 가장 좋아한다. 어떤 캐릭터에 대신 이입해서 감정을 표현하는 데이비드 보위 특유의 성격이 정말 잘 드러나는 곡이기도 하고, 멜로디도 좋고, 우주로 나가는 내용도 좋다. 너무 완벽하다. 그의 불안정성에는 창조성이 깔려있다. 다큐멘터리도 이 부분을 주목한다. 밑에서 캡쳐한 부분의 "안전함"도 한국어로는 굉장히 긍정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 같지만 고정되어있고fixed, 변화가 어려운 상태를 가리킨다. (한국어로 이런 상태를 가리킬 만한 단어가 없다는게 신기하게 느껴진다. 모든 것은 변하다는 철학관 때문일까?) 그는 계속 흥미로운 일을 하고자 했고, 자유롭고 싶어했다. 마지막 곡 중 하나인 Lazaru..

    <한나 아렌트>: 그리고 창백한 푸른 점

    <한나 아렌트>: 그리고 창백한 푸른 점

    는 영화로만 평가하자면 그저 그랬다. 영화는 아이히만 재판 취재로 시작해서, 아렌트가 에서 아이히만을 살인마 괴물이 아닌 '평범한 인간'으로 묘사해 같은 유대인들의 격렬한 혐오와 맞서게 되는 내적 외적 투쟁을 보여준다. 사실 사건이랄게 별로 없으니 영화로서의 재미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별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건 시놉시스에서부터 드러나고, 한나 아렌트가 누군지 모르는 사람들을 끌어들일만한 내용도 아니니, 이 영화는 처음부터 나같은 아렌트 숭배자들과 덕심을 공유하려 만들지 않았나 싶다. 초반부에서 아렌트는그녀의 글에 대한 변론을 거부한다. 자신의 의도는 모두 글에 묘사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중의 비난과 친구들의 절교, 공개적 모욕을 겪은 뒤 마침내 변론, 즉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기 위한..

    자크 리베트: "천박함에 대하여 De l'Abjection" (번역)

    자크 리베트: "천박함에 대하여 De l'Abjection" (번역)

    김영진 영화평론가: " 영화비평 - 수평에서 수직으로 운동과 활력" 송경원 영화평론가: "와 , 역사를 재현하는 영화들의 한계와 우려에 관하여" 번역의 계기가 되어준 글들 는 역사적 장소에 과감한 픽션을 도입하여 논란의 중심이 되었고, 는 역사적 문제에 대한 재현과 보도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뤘다. 이 주제를 흥미롭다고 생각하던 와중 씨네 21에서 와 에 대해 비평을 게재해주어 유익한 공부가 되었다. 하나 어려운게 있었다면 영화의 재현 문제에 대해서 매우 중요한 텍스트라고 계속 인용되는